오롯이 국어 공부/문법 정리

ㄴ첨가 vs 사잇소리의 ㄴ첨가(+반모음 첨가)

국어에 미친 T 2022. 4. 1. 19:52
반응형

 

 

 

 

된소리되기만큼이나 헷갈렸던 것이

ㄴ첨가와 사잇소리에서 발생하는 ㄴ첨가였어요.

 

 

같은 ㄴ첨가인데, 일어나는 환경이 다르더군요.

 

 

어떤 환경에서 나타나는지 한 번 살펴보고,

추가로

반모음 첨가에 대해서도 함께 보시죠.

 

 

 

 

 

 

 

 

ㄴ첨가


<표준발음법> - 29항 받침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앞말에 받침이 있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ㄴ첨가' 음운 환경 조건

 

1. 합성어, 파생어일 것

 

2. 앞말에 받침이 있을 것

 

3. 뒷말 모음으로 ㅑㅕㅛㅠㅣ가 올 것

 

4. 순행 동화 - 앞말 받침이 있어서 뒷말에 ㄴ이 생김(덧남)

 

 

 

 

★ 참고로 "학교 문법"에서

 

 

앞말 받침 상관없이 뒷말의 모음이 'ㅑㅕㅛㅠㅣ'로 시작될 때 ㄴ첨가 발생

- 즉, 사잇소리로 보고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과 견해 차이 있음)

 

 

(다만, 사잇소리 현상에서 나타나는 ㄴ첨가는 합성 명사(합성어)일 때만 가능하고

파생어인 경우에는 ㄴ첨가만 해당하고, 사잇소리 현상은 해당하지 않는다)

 

 

 

 

'ㄴ첨가' 예시)

 

물약[물냑-물략] / 남존여비[남존녀비]

  물엿[물녇-물렫] / 눈요기[눈뇨기]

논일[논닐] / 첫여름[천녀름]

가랑잎[가랑닙] / 서른여덟[서른녀덜] 

저녁연기[저녕년기] / 식용유[시굥뉴]

신여성[신녀성] / 들일[들닐-들릴]

늑막염[능망념] /막일[망닐] 

홑이불[혼니불] / 한여름[한녀름] 

서울역[서울녁-서울력] / 색연필[생년필]

 

 

 

 

'ㄴ첨가'와 '사잇소리 현상의 ㄴ첨가'

구분하는 예시)

 

집일[짐닐], 솜이불[솜니불] 담요[담뇨]는

합성어로서

ㄴ첨가도 되고, 사잇소리 현상에서 나타나는 ㄴ첨가에도 해당한다.

 

 

 

 

but,

 

한여름[한녀름] 맨입[맨닙] 영업용[영엄뇽]

파생어로

ㄴ첨가에만 해당하고

사잇소리 현상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설익다[설닉다-설릭다-설릭따] - 논란

설-(접사) + 익다 - 파생어

설다(어근) + 익다 - 합성어) 

 

 

 

 

 

 

 

<'ㄴ첨가'와 '사잇소리 현상' 비교>

 

ㄴ첨가 vs 사잇소리 현상
① 합성어, 파생어
② 앞말에 받침이 있을 것
③ 뒷말 모음으로 ㅑㅕㅛㅠㅣ가 올 것
④ 순행 동화
- 앞말 받침이 있어서 뒷말에 ㄴ이 생김
음운환경(조건) ① 합성 명사, 
② 하나 이상이 고유어, 
③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면 

사이시옷을 표기한다.
1)

▷▶ 'ㄴ첨가 현상'에 필요한

앞말 받침이 없고,
뒷말 모음이 ㅑㅕㅛㅠㅣ가 아니다!
사잇소리 현상과
비교
1)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소리가 덧남
잇몸[인몸] 콧날[콘날]
훗날[훈날] 아랫마을[아랜마을]
뒷머리[뒨머리] 뱃머리[밴머리] 냇물[낸물]
2)

▷▶ 'ㄴ첨가 현상'의 조건을 따져보면

'깨+잎=깻잎'이 된 과정에서
사이시옷이 표기되었다.


그리고 표기된 단어를
 발음할 때는
앞말에 받침ㅅ이 있고,

뒷말에 ㅣ가 온다는 점에서
ㄴ첨가가 일어난다.
2) 앞말 받침에 상관없이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남
깻잎[깬닙] 예삿일[예산닐]
도리깻열[도리깬녈] 훗일[훈닐]

<결론>

학교 문법상으로 사잇소리 현상의 일부를 ㄴ첨가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다.
물론 문법 교과서마다 견해 차이가 존재한다.

엄밀히 따지자면 둘은 다르다.
ㄴ첨가는 복합어에, 앞말 받침 있고, 뒷말이 ㅑㅕㅛㅠㅣ가 와야 한다는 점이고

사잇소리 현상은 합성어에, 앞말 받침없고(합성어 되는 과정에 사이시옷ㅅ이 첨가),
하나 이상이 고유어야만 한다.


문제 풀 때는 'ㄴ첨가'와 '사잇소리 현상'을 구별하라고 하지 않으므로

음운 변동 중 '첨가'에 속한다는 것만 기억하면 문제 없다.

 

 

 

 

 

 

 

 

 

 

반모음 첨가

 

 

: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반모음 ㅣ, ㅗ/ㅜ가 첨가되는 현상

 

 

1) 반모음 ㅣ를 첨가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일부 모음(ㅣ, ㅚ, ㅟ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반모음 ㅣ를 첨가하는 것을 표준발음으로 허용

 

 

예시)

되어[되어(원칙)/되여(허용)]     

피어[피어/피여]

이오[이오/이요]     

아니오[아니오/아니요]

기어[기어/기여] 괴어[괴어/괴여/궤어/궤여]

뛰어[뛰어/뛰여] 무엇이오[무어시오/무어시요]

 

 

 

2) 단모음 중 

ㅔ,ㅐ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 뒤에

반모음 ㅣ가 첨가되는 것은 표준발음을 인정하지 않는다

 

예시)

깨어[깨어]    패어[패어]    세어[세어]

 

 

 

 

3) 반모음 ㅗ/ㅜ의 첨가는

표준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예시)

좋아도[조아도(O)/조와도(X)]

 

 

 

 

<참고 문헌>

- 100인의 지혜 문법&화작, 천재교육

- 2022 수능 내신 국어문법 개념완성 2400제, 마더텅

- NEW왓칭 수능국어 문법, 도서출판 키움

'오롯이 국어 공부 > 문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맞춤법  (1) 2022.06.06
부사 & 부사어  (0) 2022.04.27
주체&객체&상대 높임법  (0) 2022.03.18
'ㅢ' 발음  (1) 2022.02.25
미지칭과 부정칭 & 재귀칭 대명사  (0) 2022.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