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롯이 국어 공부/문법 정리 18

<훈민정음>

★ 훈민정음: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글자 이름이면서 책의 이름명칭 : 훈민정음, 정음, 언문, 암클, 아햇글20세기 이후 주시경 선생님에 의해 '한글'로 불림  1443년 훈민정음 창제1446년 훈민정음 반포(널리 알림)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  ▶ 창제 배경- 우리말은 있으나 글자가 없어서 한자를 빌려 사용- 한자로는 우리말을 온전히 표현하기 어려움- 한자는 글자 수가 많아 백성들이 익히기 어려움(양반계층이 주로 사용)- 글을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는 백성들이 많음  ▶ 창제 정신1) 자주 정신 :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서로 통하지 않자 새롭게 글자를 만듦2) 애민 정신 : 말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하지 못하는 백성을 불쌍히 여겨 문자를 만듦3) 실용 정신 : 사람들이 쉽게 익..

<표준 발음법> 5항, 8항~16항

제5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이중모음 :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는 모음) 다만1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ㅕ'는 [ㅕ]로 발음하고,- 겨레[겨레] 녀석[녀석] 승려[승려] 며칠[며칠] 여름[여름] 경구개음인 'ㅈㅊㅉ'이 'ㅕ'와 결합하면 경구개음(센입천장소리)과 'ㅕ'가 발음하는 위치가 가까워서 발음하기가 어려워 [ㅓ]로 발음된다.- 가져[가저] 다쳐[다처] 쪄서[쩌서] 다만2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예, 례'는 [예, 례]로만 발음하고,- 예의[예의/예이], 차례[차례] 그 외, 예를 들면 '계, 몌, 폐, 혜'는 [ㅖ/ㅔ] 두 가지로 발음한다.- 벽계..

반모음 첨가는 첨가인가, 교체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반모음 첨가에서 반모음을 음운으로 인정할 것이냐 아니냐에 따라서'첨가'일 수도 있고, '교체'가 될 수도 있다.일단은 반모음 첨가가 '첨가' 유형에 속한다는 것에서 이미 이 부분은 반모음을 음소(음운)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참고로 모든 반모음이 다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일부 조건에서만 반모음을 인정한다) 다만, 반모음이 실질적으로는 완전한 모음이 아니라는 점에서 음운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반모음은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모음과 결합해서 쓰이기 때문이다.발음 또한 짧게 발음한다.모음은 홀로 쓰이고, 음절을 이룰 수 있으나 반모음은 그렇지 않다.      ★ 어간이 ㅣㅚㅟ로 끝나는 경우, 뒤에 오는 ㅓ나 ㅗ가 발음이 [ㅕ, ㅛ]로 발음되는 것을 허용한다.원칙적인 발음으로만 따진다면..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예시 추가

다의어 같은 경우단어가 고유어일 때 의미의 폭이 넓어서 쓰임이 다양하다. 다행이라면,모의고사나 수능에서 동음이의어나 다의어가 나올 때는사전에 실린 모습 그대로 제시해 주어서 두 단어의 관계가 동음이의어인지 다의어인지 파악할 수 있다.1, 2, 3이 나타난다면 동음이의관계1. 2. 3. 이나 「1」「2」「3」 의 형태로 나타난다면 다의관계임을 알 수 있다. 모의고사에서는 둘을 구분하는 문제를 내는 것이 아니다.각 단어의 중심적 의미나 주변적 의미에 해당하는 예시를 보고선택지도 보기와 같은 적절한 예시문을 썼는지, 서술어의 자릿수라든지, 품사나 필요로 하는 문장성분 등을 묻는 것이라서 꼼꼼히 비교해서 본다면 문제를 맞힐 수 있다. 예시를 몇 개 더 가져왔으니 같이 봅시다.(네이버 사전에서 내용을 발췌했으며,..

겹문장 - 안은 문장

홑문장 : 주어+서술어가 1번 결합한 문장겹문장(문장의 확대) : 주어+서술어가 2번 이상 결합한 문장 두 개 이상의 홑문장이 이어진 형태이거나, 홑문장이 다른 문장에 안긴 형태로 나타난다. 종류 - 이어진 문장 & 안은 문장이 있다.   실현 방법(표지)문장 성분 기능명사절을 안은 문장-(으)ㅁ, -기, 것주어, 목적어, 부사어, 관형어관형절은 안은 문장-(으)ㄴ, -는, -(으)ㄹ, 던관형어부사절은 안은 문장-이, -듯이, -게, -도록, -아서/-어서(논란)부사어인용절을 안은 문장-라고(직접 인용), -고(간접 인용)부사어서술절을 안은 문장표지 없음(주어+서술어 연달아 두 번)서술어 전체 문장은 안은 문장, -절은 안긴 문장에 속한다.[ 안은 ( 안긴 문장 = 절 ) 문장 ]  명사절, 관형절, 부..

한글 맞춤법

제 1장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소리대로 적되(표음주의),어법에 맞도록 함(표의 주의)을 원칙으로 한다.뜻을 유지하지 못하고 멀어지거나,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소리나는 대로본 뜻을 유지하거나, 생산성 높은 접미사 또는 단어와 결합했을 경우에는 어법에 맞게 형태를 밝혀 적는다.    제2항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단, 조사는 붙여 쓴다)단어는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성과 쉽게 분리되는 분리성을 가지고 있다.조사는 단어로 인정되지만, 홀로 쓰일 수 없고 앞말에 의존하고(의존 형태소) 실질적 뜻을 가지고 있지 않다(형식 형태소)는 점에서'단어'임에도 앞말과 붙여 쓴다.  제 3장 소리에 관한 것 제 5항(된소리) :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된소리되기가 일어나..

부사 & 부사어

부사는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문장을 꾸며주는 품사다른 부사, 관형사, 체언을 수식하기도 함   * 종류1) 성분 부사    : 성분 부사는 문장의 한 성분을 꾸며주는 부사  성상 부사사람, 사물의 모양이나 성질, 상태잘, 아주, 너무, 매우, 바로지시 부사장소나 시간을 가리키거나 앞에 나온 사실을 가리킴이리, 그리, 저리, 여기, 거기, 저기, 아까, 어제, 오늘부정 부사용언의 의미를 부정함안, 못상징 부사의성 부사(의성어), 의태 부사(의태어)소리나 모양을 흉내내는 말철썩철썩, 쾅쾅, 우당탕, 깡충깡충, 사뿐사뿐, 주렁주렁    2) 문장 부사     : 문장 부사는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부사       (간혹 문장 부사를 독립어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조심할 것!)  양태 부사말하는 이의 태도나 ..

ㄴ첨가 vs 사잇소리의 ㄴ첨가(+반모음 첨가)

된소리되기만큼이나 헷갈렸던 것이ㄴ첨가와 사잇소리에서 발생하는 ㄴ첨가였어요.  같은 ㄴ첨가인데, 일어나는 환경이 다르더군요.  어떤 환경에서 나타나는지 한 번 살펴보고,추가로 반모음 첨가에 대해서도 함께 보시죠.        ㄴ첨가 - 29항 받침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앞말에 받침이 있고)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ㄴ첨가' 음운 환경 조건 1. 합성어, 파생어일 것 2. 앞말에 받침이 있을 것 3. 뒷말 모음으로 ㅑㅕㅛㅠㅣ가 올 것 4. 순행 동화 - 앞말 받침이 있어서 뒷말에 ㄴ이 생김(덧남)    ★ 참고로 "학교 문법"에서   앞말 받침 상관없이 뒷말의 모음이 ..

주체&객체&상대 높임법

높임법이 은근 헷갈리죠? 주제, 객체, 상대 높임법을 구분해 봅시다.       주제 높임법: 서술의 주체(문장성분 - 주어)를 높이는 방법# 실현 방법1) 조사 - 께서(←이/가)2) 선어말어미 '-시-'3) 특수 어휘  계시다, 잡수시다(드시다, 자시다, 잡수다), 편찮으시다, 돌아가시다, 주무시다댁, 진지, 성함, 연세 등★잡수시다/드시다, 돌아가시다 특수 어휘로 보고 있으나,특수 어휘에 '-시-'가 결합된 형태로 본다는 점에서 논란이 있음  예)먹다 - 자시다(먹다의 높임말)먹다 - 잡수다(먹다의 높임말) - 잡수시다먹다 - 들다(먹다의 높임말) - 드시다죽다 - 돌아가다(죽다의 높임말) - 돌아가시다★ 참고로선어말어미 '-시-'와 특수 어휘에 쓰이는 '-시-'는 같은 방식이 아니라는 점!선어말어..

'ㅢ' 발음

표준발음법 제 5항이중모음인 'ㅢ'는 원칙적으로는 [ㅢ]로 발음한다.그리고 발음하는 상황에 따라 [ㅣ],  [ㅔ]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한다.   *주의* 자음을 초성(첫소리)으로 가지는 'ㅢ'는 [ㅣ]로만 발음!  [ㅢ]로 발음하지 않는 유일한 예외!    ▷▶요약 정리첫 음절(첫 글자)에 오는 '의'는 [ㅢ]로만 발음첫 음절 이외(두 번째, 세 번째 자리 등등)에 오는 '의'는 [ㅢ(원칙) / ㅣ(허용)]첫 음절 이외에 오는 '의'이되, 조사인 경우 [ㅢ(원칙) / ㅔ(허용)]몇 번째 자리냐에 상관없이 자음으로 시작하는 ㅢ는 [ㅣ]로만 발음      모음을 첫소리로 가지는 ㅢ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는 ㅢ다만 4. 첫음절 이외의 ㅢ[ㅢ]로만 발음[ㅣ]로만 발음-  [ㅢ]로 발음X  -[ㅢ]로 발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