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된소리되기(경음화)와 사잇소리 현상에서
경음화되는 부분이
겹치는 것 같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된소리되기
: 예사소리 ㄱㄷㅂㅅㅈ가
된소리 ㄲㄸㅃㅆㅉ로 바뀌는 현상
① 받침 ㄱㄷㅂ 뒤에 연결되는 ㄱㄷㅂㅅㅈ은 된소리로 발음
예) 국가[국까] 책방[책빵] 옆집[엽찝]
② 용언(동사, 형용사)의 어간 'ㄴ(ㄵ), ㅁ(ㄻ), ㄼ, ㄾ' 뒤에 연결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ㄷㅂㅅㅈ은 된소리로 발음
예) 신발을 신다[신따] 앉고[안꼬] 닮고[담꼬] 넓게[널께] 핥다[할따]
③ 한자어 ㄹ받침 뒤에 연결되는 ㄷㅅㅈ은 된소리로 발음
예) 발동[발똥] 갈등[갈뜽] 일시[일씨]
④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ㄷㅂㅅㅈ은 된소리로 발음
예) 할 것을[할 꺼슬] 갈 곳[갈 꼳] 할 수를[할 쑤를]
⑤ '-(으)ㄹ'로 시작하는 어미 뒤에 연결되는 ㄱㄷㅂㅅㅈ은 된소리로 발음
예) 할걸[할껄] 할세라[할쎄라] 할지라도[할찌라도]
사잇소리 현상
: 명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합성어를 이룰 때,
그 사이에 소리가 덧나는 현상.
① 앞말이 울림소리(모음, ㅁㄴㅇㄹ)로 끝나고
뒷말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ㄱㄷㅂㅅㅈ)일 떄,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예) 초+불=촛불[초뿔/촏뿔] 봄+비=봄비[봄삐] 길+가=길가[길까]
②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ㄴㅁ으로 시작될 때, 'ㄴ'이 첨가되는 경우
예) 코+날=콧날[콘날] 이+몸=잇몸[인몸]
③ 앞말 받침에 상관없이 뒷말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ㅑㅕㅛㅠ)로 시작될 때, (feat.학교문법)
'ㄴ'또는 'ㄴㄴ'이 첨가되는 경우
예) 솜+이불=솜이불[솜니불] 깨+잎=깻잎[깯잎-깯닙-깬닙]
★☆ 참고사항
- 사이시옷의 표기 조건 : 1)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남
2) 하나 이상이 고유어
3)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 다만 한자로만 이루어진 합성어의 경우
원칙적으로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으나(고유어가 없으니까),
다음 6개의 단어는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표기
예) 찻툇곳셋숫횟 - 찻간 툇간 곳간 셋방 숫자 횟수
된소리되기(경음화) | 사잇소리 현상 | 비고 |
① 받침 ㄱㄷㅂ 뒤 | 개념 : 명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합성어를 이룰 때, 그 사이에 소리가 덧나는 현상. (명사 중 하나는 '고유어!' 이어야 한다) |
사잇소리 현상은 앞말이 울림소리 → 된소리되기 중 ②③④⑤ 해당 |
② 용언의 어간 'ㄴ(ㄵ), ㅁ(ㄻ), ㄼ, ㄾ'뒤 | 앞말이 울림소리(모음, ㅁㄴㅇㄹ), 뒷말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 (ㄱㄷㅂㅅㅈ)일 때,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초+불=촛불[초뿔/촏뿔] 봄+비=봄비[봄삐] |
그러나 사잇소리가 '합성명사'여야 하고, 명사 중 하나는 '고유어' 여야 함 → ②④⑤ 합성명사 아니라서 탈락 → ③은 고유어가 하나 있어야 하는데 둘다 한자라서 탈락 |
③ 한자어 ㄹ받침 뒤 | <총 정리> 된소리되기(경음화)는 보통 어간과 어미 사이에서 일어나고, 명사 사이에서 일어난다고 해도 하나가 고유어가 아니거나, 앞말 받침이 울림소리가 아니다. 즉, 사잇소리 현상에서 일어나는 경음화와 겹치는 부분은 없다. |
|
④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 | ||
⑤ '-(으)ㄹ'로 시작하는 어미 뒤 |
<참고 문헌>
- 2023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수능 내신 국어문법 개념완성 2400제>, 좋은책 신사고
'오롯이 국어 공부 > 문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ㅢ' 발음 (1) | 2022.02.25 |
---|---|
미지칭과 부정칭 & 재귀칭 대명사 (0) | 2022.02.25 |
파생명사 vs 용언의 명사형 (0) | 2022.01.19 |
피동과 사동의 구별(+수정) (0) | 2021.12.24 |
어근과 접사 그리고 어미(feat.형태소) (0) | 202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