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롯이 국어 공부/문학 정리

대구법이 나타나는 고전시가 모음zip

국어에 미친 T 2022. 1. 27. 12:13
반응형

 

 

 

 

 

 

엄밀히 따지자면

 

대구법과 문장구조의 반복을

같은 개념으로 간주하지 않습니다만,

 

(문장구조의 반복이나 대구법이 조사나 어미에 맞춰 반복되어 나타나지만

전자가 보통 시에서 떨어져서 나타나는 반면,

후자는 시행에서 연달아 이어서 나타나는 편입니다)

 

 

 

 

수능이나 모고에서는 비슷한 개념으로 적용하고 있어요.

 

문제 풀이를 보더라도 문장구조의 반복(대구)이라고 쓰여있더군요.

 

 

 

 

특히, 

고전시가에서는 대구법이 주로 나타나는데

이 표현이 나타나는 구절을 살펴볼게요.

 

(feat. 주저리주저리

중세국어에서 나타나는 아래아나 반치음 등의 문자를 표기할 수가 없어서

현대어에 맞게 ㅏ나 ㅡ 등의 모음으로 바꿔 썼어요.

한자도 생략했고, 원본이랑 차이가 있으니 유의해주세요.

 

시중 교재에 담긴 모고(전국연합평가)의 자료를 발췌독하여 인용했고,

옆에 풀이로 적어놓은 것은 제가 쓴 내용에 불과하니 가볍게 생각해주세요. )

 

 

 

 

 


 

 

 

 


이웃 사람
 지나가도 서방님이 오시는가

새소리만 귀에 오면 서방님이 말하는가
그 얼굴이 눈에 삼삼   그 말소리 귀에 쟁쟁

- 작자미상, <덴동어미 화전가>


대구법이 문장구조의 반복이면서 짝을 이루는 대칭 구조

이웃사람 - 새소리 가 대칭
서방님이 오시는가 - 말하는가 (어미 '-는가' 반복)

'-이 -에 ~(음성상징어)' 반복
그 얼굴 - 그 말소리 대칭
눈 - 귀 대칭
삼삼- 쟁쟁 대칭
 
구버는 천심녹수   도라보니 만첩청산
십장홍진이 언매나 가롓는고
강호애 월백하거든 더옥 무심하얘라

- 이현보, <어부단가> 중 <제2수>


조사나 어미를 맞춰서 반복되는 부분이 보이지 않아서
대구법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음

게다가 여기에는 표기하지 않았지만
천심녹수와 만첩청산이 한자로 되어 있어
대구법이 더 보이지 않음(주의!)
굽어지는(휘어지는) 푸른 물과
돌아보니 푸른 산

굽다 - 돌다 대칭
푸른 물 - 푸른 산  대칭

밤에는 새끼를 꼬고   낮에는 띠를 베어
초가집 잡아 매고 농기 좀 손 보아라
내년에 봄 온다 하거든 결의 종사하리라.

- 이휘일, <전가팔곡> 중 <제 5수>


밤과 낮이란 단어만 보고 대조법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대구법은 두 단어가 대등하게 배열(배치)되어 있음


'-에는 -를 ~' 이런 식으로 반복
밤 - 낮 대칭
새끼 꼬다 -띠 베다 대칭


반기시는 낫비치 녜와 엇디 다르신고

누어 생각하고 니러 안자 혜여하니
내 몸의 지은 죄 뫼가티 싸혀시니
하늘히라 원망하며   사람이라 허믈하랴

- 정철, <속미인곡> 중

'-이라 -하며(하랴)'로 반복

하늘 - 사람 대칭

봄은 오고 또 오고
   플은 플으고 또 플으네

나도 이 봄 오고 이ㅣ 플 프르기 가티
어느날 고향의 도라가 노모께 뵈오려뇨.
<1수>

천년은 칠십오ㅣ오   영로는 수천리오
도라갈 기약은 가디록 아득하다
아마도 잠 업슨 중야의 눈믈 계웨 셜웨라.
<2수>

- 이담명, <사노친곡>

'-은 -고'  반복(조사와 어미를 맞춤)

봄 - 풀 대칭
오고 오고 - 푸르고 푸르네 대칭


'-은(는) -오' 반복

천년(어머님 연세) - 영로(고갯길) 대칭
칠십오 - 수천리 대칭


제택도 파산하고
   친속은 분찬하니

도로에 방황한들 할 곳이 전혀 업네
(중략)
나 아니면 뉘 뫼시며   자모 밧긔 날 뉘 괼고

- 이광명, <북찬가>




'-도(은) -하고(하니)' 반복

제택 파산 - 친속 분찬 대칭


'- 아니면(=밧긔) 뉘 -며(고)'

나 - 자모 대칭
뉘 뫼시며 - 뉘 괼고 대칭


고인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 뵈네

고인을 못 봐도 가던 길 앞에 있네
가던 길 앞에 있거든 아니 가고 어찌할까

- 이황, <도산십이곡> 중 <제9수>



'-도 -(을) 못 보고(뵈네)' 반복

고인 - 나 대칭
날 - 고인 대칭
못 보고 - 못 뵈네 대칭


근심이라 이시며
   시름이라 브터시랴


- 송순, <면앙정가>


'-이라 이시며(시랴)' 반복

근심 - 시름 대칭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 작자미상, <청산별곡>


'-이라 -던 돌코' 반복

어듸라 - 누리라 대칭
더디던 - 마치던 대칭 

 

 

<참고 문헌>

- 100발100중 고등문학 개념서, 에듀원, 김은영(2022)

반응형

'오롯이 국어 공부 > 문학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사랑> - 고재종  (1) 2023.03.22
<자화상> - 윤동주  (0) 2023.03.20
반어 vs 역설  (0) 2022.04.06
의인법과 활유법(+추가 수정)  (0) 2021.12.03
대구법과 비슷한 문장 구조의 반복  (0) 2021.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