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롯이 국어 공부/문학 정리

<유리창1> - 정지용

국어에 미친 T 2023. 6. 25. 12:25
반응형

 

 

작품 해설

 

 

 

 

유리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린다

유리 - 삶(창 안)과 죽음(창 밖)을 단절 & 연결의 매개체

유리창은 창밖을 내다볼 수 있게 하면서 창밖을 차단 

차고 슬픈 것 - 죽은 아이의 영상(감정의 대위법)

 

열없이붙어 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열없이 : 맥없이, 기운없이(상실감)

 

길들은 양 언 날개를 파다거린다

양 언 날개 - 유리창에 어린 죽은 아이 영상, 입김자국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죽은 아이를 보기 위한 화자의 행동 - 그리움, 안타까움

 

새까만 밤이 밀려 나가고 밀려와 부딪히고

 

물 먹은 별이, 반짝, 보석처럼 백힌다.

물 먹은 - 눈물이 고인 눈으로 바라본

별 - 죽은 아이의 영혼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홀로 - 화자의 외로운 상황

유리를 닦는 것 - 죽은 아이에 대한 그리움으로 인한 행동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죽은 자식과의 단절로 인한 외로움 + 죽은 자식의 영상을 본 황홀함

= 역설법 & 감정의 대위법

 

고운 폐혈관이 찢어진 채로

아이가 폐병으로 죽었음을 암시

 

아아, 늬는 산새처럼 날아갔구나!

산새 - 죽은 아이의 영혼

허망함과 안타까움

 

 

▶ 주제 : 죽은 자식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

▶ 특징
1) 죽은 아이를 나타내는 시어 - 차고 슬픈 것, 언 날개, 물 먹은 별, 산새
2) 감각적 묘사와 비유를 통해 선명한 시각적 이미지 전달
3) 감정의 대위법, 역설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감정을 절제

 

*감정의 대위법

: 두 가지 상반된 정서가 어울려 감정을 절제하는 효과를 주는 표현 기법

'오롯이 국어 공부 > 문학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유 vs 상징 vs 추상적 관념의 구체화  (0) 2023.06.29
문학의 미적 범주 4가지  (0) 2023.06.28
<은수저> - 김광균  (0) 2023.06.08
<어부사시사> - 윤선도  (2) 2023.06.08
<초혼> - 김소월  (0) 202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