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롯이 국어 공부/문학 정리

<은수저> - 김광균

국어에 미친 T 2023. 6. 8. 18:44
반응형

 

 

작품 해설


산이 저문다.

애기가 묻힌 산

노을이 잠긴다.

저문다, 잠긴다 - 하강의 이미지, 소멸(죽음 상징)

저녁 밥상에 아기가 없다

아기의 부재(죽음) 인식

아기 앉던 방석에 한 쌍의 은수저

은수저 = '아기'를 상징,

은수저를 통해 아기를 떠올린다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

아기를 잃은 슬픔, 비통함을 간접적(감정 절제)으로 드러냄

화자의 슬픔을 감각적으로 형상화

 

 

한밤중에 바람이 분다

이승과 저승이 가까워지는 분위기, 상실감이 고조되는 시간

바람 속에서 아기가 웃는다

아버지의 환상 - 천진난만한 생전 아기의 모습

아기는 방 속을 들여다 본다

방 속 - 현실 세계(이승), 화자가 있는 곳

들창을 열었다 다시 닫는다

죽은 아이의 환영을 보고 확인해 보려는 행위

들창 = 이승(삶)과 저승(죽음)의 경계선, 연결과 단절의 매개체, 만남의 장소x

 

 

먼 들길을 아기가 간다

들길 = 저승(죽음의 세계), 아기가 있는곳

맨발 벗은 아기가 울면서 간다

죽음의 세계로 떠나는 아이의 슬픈 모습

불러도 대답이 없다

이승과 저승 사이의 거리감

그림자마저 아른거린다

현실로 돌아옴.  거리감에서 오는 절망(절제된 어조)

 

 

 

핵심 정리

- 주제 : 아기를 잃은 아버지의 슬픔

- 특징 

1) 절제된 어조로 화자의 슬픔을 강조

2)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슬픔을 시각적으로 보여줌

 

 

다른 작품과 연계

- 정지용의 <유리창1>과 공통점

1) 주제 - 죽은 자식(아이)에 대한 슬픔과 그리움

2) 화자의 감정을 절제하여 표현

3) 공간 대비(화자가 있는 공간 vs 아이가 있는 공간)

- <은수저>에서는 들창을 사이에 두고 방 속(이승)과 들길(저승)이,

<유리창1>에서는 유리창을 매개로 창 안(이승)과 창 밖(저승)이 대비됨

 

 

'오롯이 국어 공부 > 문학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의 미적 범주 4가지  (0) 2023.06.28
<유리창1> - 정지용  (0) 2023.06.25
<어부사시사> - 윤선도  (2) 2023.06.08
<초혼> - 김소월  (0) 2023.04.27
서술자의 개입 - 편집자적 논평  (8) 2023.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