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롯이 국어 공부/문학 정리

<장수산1> - 정지용

국어에 미친 T 2024. 12. 20. 22:10
반응형

 

벌목정정이랬거니 아람도리 큰 솔이 베혀짐즉도 하이 골이 울어

*벌목정정 : 커다란 나무가 베어질 때 나는 소리

(실제로 나무를 벤다는 뜻x

→ 나무 쓰러지는 소리가 골짜기에서

      메아리로 쩌렁쩌렁 돌아올 만큼 숲이 깊고 울창하다)

*아람도리 : 아름드리

*솔 : 소나무

*골 : 골짜기

*-직도 하이 - 종결어미 반복

 

멩아리 소리 쩌르렁 돌아옴즉도 하이 다람쥐도 좇지 않고 

*멩아리 : 메아리

*쩌르렁 - 음성 상징어 

 

묏새도 울지 않어 깊은 산 고요가 차라리 뼈를 저리우는데 

*깊은 산 고요 ~ 저리우는데 - 뼈에 사무치는 적막감

 

눈과 밤이 조히보담 희고녀! 달도 보름을 기달려 흰 뜻은 한밤 이 골을 걸음이랸다? 

*눈과 밤 ~ 희고녀 : 눈 내린 밤이 종이보다 희구나(영탄법)

*걸음이랸다 :  걷게 하려는 것인가?

 

웃절 중이 여섯 판에 여섯 번 지고 웃고 올라간 뒤 

*탈속(세속, 현실을 벗어난 공간)의 모습 = 장수산 이미지

*웃절 중은 세속적 욕망과 집착을 초월한 존재(승패에 연연하지x)

= 고요와 평화, 탈속의 경지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장수산'과 대응

 

조찰히 늙은 사나이의 남긴 내음새를 줏는다? 

*조찰히 : 아담하고 깨끗하게

*늙은 사나이 = 웃절 중

*남긴 내음새를 줏는다 - 삶의 태도를 생각하고 배운다

 

시름은 바람도 일지 않는 고요에 심히 흔들리우노니 오오 견디랸다

*시름(근심, 걱정)에 젖은 화자의 내면을 표현

  추상적 관념인 '시름'을 '흔들린다'고 시각화(구체화)

*오오 견디랸다 - 영탄법, 인내와 극복의지

 

차고 올연히 슬픔도 꿈도 없이 장수산 속

*올연히 : 홀로 우뚝하게

*슬픔도 꿈도 장수산 속 겨울 한밤의 고요 속에 묻어버린다

*장수산 의미 - 절대적 고요의 공간,

세상과 단절되어 적막함을 느끼게 하는 공간,

세상사를 잊고 세속에 대한 초월과 마음을 평화를 얻고자 하는 공간

 

겨울 한밤내ㅡ

 

 

 

*주제 : 장수산의 절대 고요와 탈속의 세계에 대한 염원

 

*시의 특징과 표현

1) 예스러운 말투를 사용(-하이, -고녀, -랸다, -노니)하여 동양적 분위기 조성

2) 고요한 자연의 정경(풍경)과 화자의 내면 의식을 절묘하게 조화시킴

3) 시행의 종결을 의도적으로 거부

 

 

'오롯이 국어 공부 > 문학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평역에서> - 곽재구  (0) 2024.01.16
<눈> - 김수영  (0) 2024.01.16
<우리 동네 구자명 씨> - 고정희  (0) 2024.01.16
<와사등> - 김광균  (0) 2024.01.16
<바퀴벌레는 진화 중> - 김기택  (1) 2023.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