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롯이 국어 공부 54

반모음 첨가는 첨가인가, 교체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반모음 첨가에서 반모음을 음운으로 인정할 것이냐 아니냐에 따라서 '첨가'일 수도 있고, '교체'가 될 수도 있다. 일단은 반모음 첨가가 '첨가' 유형에 속한다는 것에서 이미 이 부분은 반모음을 음소(음운)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모든 반모음이 다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 일부 조건에서만 반모음을 인정한다) 다만, 반모음이 실질적으로는 완전한 모음이 아니라는 점에서 음운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반모음은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모음과 결합해서 쓰이기 때문이다. 발음 또한 짧게 발음한다. 모음은 홀로 쓰이고, 음절을 이룰 수 있으나 반모음은 그렇지 않다. ★ 어간이 ㅣㅚㅟ로 끝나는 경우, 뒤에 오는 ㅓ나 ㅗ가 발음이 [ㅕ, ㅛ]로 발음되는 것을 허용한다. 원칙적인 발음으로만 따..

<첫사랑> - 고재종

★ 제목의 의미 눈꽃(첫사랑)이 피는 과정을 통해 아름다운 사랑의 의미를 발견하고 있기 때문에 제목을 첫사랑이라고 하였다. 눈꽃 대응(공통점) 첫사랑 쉽게 피어날 수 없음 쉽게 이루어지지 않음 피어나는데 헌신적인 노력 필요 이루어지는데 헌신적인 노력 필요 실패로 인한 덴 자리(아픔, 상처)를 남김 이별, 실연의 아픔을 남김 봄꽃을 피워낼 수 있게 함 성숙한 사랑을 이룰 수 있게 함 작품 해석 흔들리는 나뭇가지에 꽃 한 번 피우려고 1) 눈은 얼마나 많은 도전을 멈추지 않았으랴 1) 눈 : 사랑을 이루기 위한 도전과 헌신적 노력 눈은~않았으랴 : 설의법, 의인법(눈이 사람처럼 도전하는 주체) → 사랑을 이루기 위한 눈의 노력을 형상화 - 눈이 눈꽃(첫사랑)을 피우기 위해 한 노력들 ① 싸그락 싸그락 두드리..

<자화상> - 윤동주

윤동주 시인의 '시'는 전반적으로 자기 반성과 성찰이 두드러집니다. 일제 강점기 시대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현실에 안주했던 시인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과 연결됩니다. 에서도 자아성찰의 매개체로 '구리 거울'이 등장합니다. 작품 해석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 우물 : 자아성찰의 매개체,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대상, 평화롭고 아름다운 풍경을 담고 있는 이상적 공간, 내적 갈등 해소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로 가을이 있습니다. - 달이 밝고 ~ 가을이 있습니다 : 평화롭고 아름다운 우물 속 자연 풍경 나열(열거법) - 파아란 바람 : 공감각적 표현(바람은 촉각, 파아란은 시각 - 촉각의 시각화) ..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예시 추가

다의어 같은 경우 단어가 고유어일 때 의미의 폭이 넓어서 쓰임이 다양하다. 다행이라면, 모의고사나 수능에서 동음이의어나 다의어가 나올 때는 사전에 실린 모습 그대로 제시해 주어서 두 단어의 관계가 동음이의어인지 다의어인지 파악할 수 있다. 1, 2, 3이 나타난다면 동음이의관계 1. 2. 3. 이나 「1」「2」「3」 의 형태로 나타난다면 다의관계임을 알 수 있다. 모의고사에서는 둘을 구분하는 문제를 내는 것이 아니다. 각 단어의 중심적 의미나 주변적 의미에 해당하는 예시를 보고 선택지도 보기와 같은 적절한 예시문을 썼는지, 서술어의 자릿수라든지, 품사나 필요로 하는 문장성분 등을 묻는 것이라서 꼼꼼히 비교해서 본다면 문제를 맞힐 수 있다. 예시를 몇 개 더 가져왔으니 같이 봅시다. (네이버 사전에서 내용..

겹문장 - 안은 문장

홑문장 : 주어+서술어가 1번 결합한 문장 겹문장(문장의 확대) : 주어+서술어가 2번 이상 결합한 문장 두 개 이상의 홑문장이 이어진 형태이거나, 홑문장이 다른 문장에 안긴 형태로 나타난다. 종류 - 이어진 문장 & 안은 문장이 있다. 실현 방법(표지) 문장 성분 기능 명사절을 안은 문장 -(으)ㅁ, -기, 것 주어, 목적어, 부사어, 관형어 관형절은 안은 문장 -(으)ㄴ, -는, -(으)ㄹ, 던 관형어 부사절은 안은 문장 -이, -듯이, -게, -도록, -아서/-어서(논란) 부사어 인용절을 안은 문장 -라고(직접 인용), -고(간접 인용) 부사어 서술절을 안은 문장 표지 없음(주어+서술어 연달아 두 번) 서술어 전체 문장은 안은 문장, -절은 안긴 문장에 속한다. [ 안은 ( 안긴 문장 = 절 ) 문..

논증 - 연역, 귀납, 유추(유비)

: 근거를 들어 결론을 이끌어 내는 논리적 전개 과정 1. 연역 ‌논증 : 일반 법칙(보편적, 포괄적)으로부터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사실을 이끌어 내는 논증 방법 *** 삼단논법 : 대전제 - 소전제 - 결론 - 대전제의 주어는 상위어(보편적, 포괄적인 단어)가 온다 - 대전제의 서술어는 결론의 서술어로 나타난다. - 소전제의 주어는 하위어(구체적, 개별적인 단어)가 온다. 상위어에 속하면서 구체적인 예시(사례) 중 하나이다. 소전제의 주어가 결론의 주어가 된다. 예시) 대전제 : 물고기(상위어)는 아가미로 숨을 쉰다. 소전제 : 금붕어(하위어)는 물고기이다. 결론 : 그러므로 금붕어는(소전제의 주어) 아가미로 숨을 쉰다(대전제의 서술어) 대전제 :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전제 : 이순신 장군은 사람이다...

한글 맞춤법

제 1장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소리대로 적되(표음주의), 어법에 맞도록 함(표의 주의)을 원칙으로 한다. 뜻을 유지하지 못하고 멀어지거나,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소리나는 대로 본 뜻을 유지하거나, 생산성 높은 접미사 또는 단어와 결합했을 경우에는 어법에 맞게 형태를 밝혀 적는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단, 조사는 붙여 쓴다) 단어는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성과 쉽게 분리되는 분리성을 가지고 있다. 조사는 단어로 인정되지만, 홀로 쓰일 수 없고 앞말에 의존하고(의존 형태소) 실질적 뜻을 가지고 있지 않다(형식 형태소)는 점에서 '단어'임에도 앞말과 붙여 쓴다. 제 3장 소리에 관한 것 제 5항(된소리) :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 (된소리되기가..

부사 & 부사어

부사는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문장을 꾸며주는 품사 다른 부사, 관형사, 체언을 수식하기도 함 * 종류 1) 성분 부사 : 성분 부사는 문장의 한 성분을 꾸며주는 부사 성상 부사 사람, 사물의 모양이나 성질, 상태 잘, 아주, 너무, 매우, 바로 지시 부사 장소나 시간을 가리키거나 앞에 나온 사실을 가리킴 이리, 그리, 저리, 여기, 거기, 저기, 아까, 어제, 오늘 부정 부사 용언의 의미를 부정함 안, 못 상징 부사 의성 부사(의성어), 의태 부사(의태어) 소리나 모양을 흉내내는 말 철썩철썩, 쾅쾅, 우당탕, 깡충깡충, 사뿐사뿐, 주렁주렁 2) 문장 부사 : 문장 부사는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부사 (간혹 문장 부사를 독립어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조심할 것!) 양태 부사 말하는 이의 태도나 주관적 ..

반어 vs 역설

중2 교과서에 반어, 역설에 대해서 배웁니다. 이 둘을 잘 몰라하는 분들을 위해 반어 & 역설의 개념과 예문들을 가져왔습니다. 반어법 : 속뜻과 반대로 표현하여 의미를 강조하는 표현 방법 반어는 속마음과 반대로 표현하기 때문에 겉문장은 문제가 없습니다. 이면을 살펴보면 다른 뜻(의미)이 있음을 알 수 있어요. 즉, 겉과 속이 다르다는 것! 츤데레들이 반어법을 잘 사용하며, 일상에서는 비꼬는 의미로 쓰입니다. 대화에서 흔히 우회적 말하기(돌려 말하기)로 표현됩니다. 예시) (꽃을 주며) 오다가 주웠다. → 좋아하는 상대를 위해 준비한 선물을 주워 왔다고 표현 (잘못을 한 아들에게) 참 잘~한다, 잘해. → 정말 잘했다는 칭찬이 아닌 빈정대거나 혼내는 의미 역설법 : 이치에 어긋나거나 모순되는 진술을 통해 ..

ㄴ첨가 vs 사잇소리의 ㄴ첨가(+반모음 첨가)

된소리되기만큼이나 헷갈렸던 것이 ㄴ첨가와 사잇소리에서 발생하는 ㄴ첨가였어요. 같은 ㄴ첨가인데, 일어나는 환경이 다르더군요. 어떤 환경에서 나타나는지 한 번 살펴보고, 추가로 반모음 첨가에 대해서도 함께 보시죠. ㄴ첨가 - 29항 받침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앞말에 받침이 있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ㄴ첨가' 음운 환경 조건 1. 합성어, 파생어일 것 2. 앞말에 받침이 있을 것 3. 뒷말 모음으로 ㅑㅕㅛㅠㅣ가 올 것 4. 순행 동화 - 앞말 받침이 있어서 뒷말에 ㄴ이 생김(덧남) ★ 참고로 "학교 문법"에서 앞말 받침 상관없이 뒷말의 모음이 'ㅑㅕㅛㅠㅣ'로 시작될 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