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롯이 국어 공부 54

요약하기의 원리(방법)

요약하기 글의 중심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는 것 ▶ 요악하기 효과 - 글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 - 글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억하는 데 도움 - 글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 ▶ 글의 특성(종류)에 따른 요약하기 방법 1) 설명문(설명하는 글) - 설명하는 내용 가운데 중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하여 요약 - 이희수 최근 마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마을학교’이다. ‘마을학교’는 마을 주민이 주도하여 마을의 여러 공간에서 자신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벌이는 것을 말한다. ‘마을학교’는 마을과 학교가 하나 되는 것을 추구하며, 삶에서 오는 문제와 어려움을 마을 주민들이 함께 해결할 힘을 기르는 역할을 한다. '마을학교’가 현대의 이기적인 생활 방식을..

<은수저> - 김광균

작품 해설 산이 저문다. 애기가 묻힌 산 노을이 잠긴다. 저문다, 잠긴다 - 하강의 이미지, 소멸(죽음 상징) 저녁 밥상에 아기가 없다 아기의 부재(죽음) 인식 아기 앉던 방석에 한 쌍의 은수저 은수저 = '아기'를 상징, 은수저를 통해 아기를 떠올린다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 아기를 잃은 슬픔, 비통함을 간접적(감정 절제)으로 드러냄 화자의 슬픔을 감각적으로 형상화 한밤중에 바람이 분다 이승과 저승이 가까워지는 분위기, 상실감이 고조되는 시간 바람 속에서 아기가 웃는다 아버지의 환상 - 천진난만한 생전 아기의 모습 아기는 방 속을 들여다 본다 방 속 - 현실 세계(이승), 화자가 있는 곳 들창을 열었다 다시 닫는다 죽은 아이의 환영을 보고 확인해 보려는 행위 들창 = 이승(삶)과 저승(죽음)의 경계선..

<어부사시사> - 윤선도

작가가 65세 때 보길도에서 한적한 나날을 보내며 지은 연시조. 사계절의 흥취를 춘하추동 각 10수씩 모두 40수에 걸쳐 노래한 작품. 각 계절의 10수는 출항에서 귀항까지의 어부(가어옹)의 하루 일과를 시간 순서대로 읊으면서, 세속을 벗어나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며 자연과 합일을 추구하는 삶의 경지를 그린다.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리면서 한자어를 적절히 사용해 세련된 언어 표현이 돋보인다. 춘사(春詞) 1 - 강촌의 아름다운 봄 풍경을 감상하며 만족함 압개예 안개 것고 뒫뫼희 해 비췬다(대구법) 배 떠라 배 떠라(띄워라) 밤믈은 거의 디고 낟믈이 미러 온다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강촌(보길도) 온갓 고지 먼 빗치 더옥 됴타 앞 갯벌에 안개 걷히고 뒷산에 해 비친다. 배 띄워라 배 띄워라 썰물은 거의..

<초혼> - 김소월

▶ 작품에 나타난 전통적 요소 - 전통 상례 과정 중 하나인 초혼의식 (사람이 죽었을 때 그 혼을 소리쳐 부르는 일)을 소재로 함 - 망부석 설화를 차용 - 전통적인 '한'의 정서를 표현 - 3음보의 전통적 민요조 율격으로 이루어짐 ▶ 김소월의 시세계 - 향토적 소재와 토속어를 사용하여 민속적 정서를 표현 - 이별의 정한을 민요적 율격에 담아 표현하여 한국 문학의 전통을 계승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이여!' 반복(영탄법, 격정적 어조) - 운율 형성, 화자의 심정 강조 공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주인없는 이름 - 모순 형용(역설)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임을 부르다 화자가 죽을 만큼 간절한 마음, 잊을 수 없다(점층법) 1연 : 죽은 임의 이름을 부르는 절망적 슬픔..

서술자의 개입 - 편집자적 논평

▷▶ 서술자의 개입 : 서술자가 작품 속에 끼어들어 자신의 주관적 생각을 말하는 것 편집자적 논평이라고도 함. 인물이나 사건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포함. 주로 고전소설에서 많이 등장!!! (전지적 작가시점일 때 나타남) ▷▶ 편집자적 논평 : 서술자가 직접 작품 속에 개입하여 논하고 비평하는 방법 ★ 서술자의 개입(편집자적 논평)이 나타나는 모습★ 1) 감탄사(아아), 감탄형 어미(-구나) 2) 설의법(-리오, -랴, (으)ㄴ가/는가 질문같지만 이미 답을 정해놓고 의문 형식처럼 표현 "야, 이거 슬프지 않냐?"라고 묻지만 "야, 이거 너무 슬프다" 라는 뜻 3) 판소리 말투 - 거동보소(=쟤 하는 꼬라지 좀 봐) 판소리계 소설에 드러남 4) -더라 뭔가 들은 말을 전해주듯 표현 5) 직접 감정 표출 - ..

문학 작품 - 관점 4가지(내재적/외재적)

다양한 해석을 비교하며 문학 작품을 감상하면 어떤 효과가 있는가? 1) 작품을 보다 폭넓게 이해 2) 문학 작품을 해석하는 방법, 독자의 인식 수준, 관심, 경험, 가치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 1. 내재적 관점 (= 절대론적, 구조적 관점) : 시어의 운율과 표현, 작품 구조 등 작품 자체(내용)를 근거로 하여 작품을 감상 - 김소월 말하는 이는 반어법을 활용해 자신의 속마음과 반대로 말하고 있어. 이를 통해 화자의 간절한 마음이 더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 같아. - 조지훈 '하얀 미닫이'를 '하이얀 미닫이'라고 표현하여 운율감을 살리며, '하이얀'과 '붉어라'라는 시어가 선명하게 색채 대비를 이루는 가운데 시적 화자의 애잔한 정서가 드러나고 있어. -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라는 명령형..

<찬기파랑가> - 해독 비교

▶ 향가 특징 1) 개념 : 신라의 대표적 시가이며 향찰(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씀)로 기록 2) 전개 : 8~10세기 무렵 활발하게 창작, 소통 3) 형식 : 행의 수에 따라 4구체, 8구체, 10구체 4) 의의 ① 민요에 바탕을 둔 작품에서 개인이 창작한 서정시까지 성격이 다양 ② 승려, 화랑 등 지식인 계층이 대체로 향유 ③ 10구체 향가에서 9행 첫부분(낙구)의 감탄사는 조선 전기의 시조와 가사의 낙구에도 나타남 → 한국 문학의 형식적 특징 계승 ④ 와 더불어 가장 서정성이 높은 향가 작품 ▶ 기파랑의 인품을 보여주는 시어(자연물에 비유) 1) 달 : 광명과 염원, 높이 우러러보는 존재인 기파랑의 고결한 모습 2) 믈서리 : 기파랑의 맑고 깨끗한 성품 3) 잣나무 가지 : 기파랑의 고고한 절개, ..

<봄> - 이성부

기다리지 않아도 오고 계절이 순환하는 자연의 섭리 기다림마저 잃었을 때에도 너는 온다. → 절망적 상황 *너 = 봄(의인법) *봄 → 간절하게 기다리는 대상, 반드시 도래할(올) 희망 - 내재적 관점 해석 민주주의, 자유, 새로운 시대 - 외재적 관점 (그중, 반영론적 관점 - 독재 정권이 강한 권력으로 국민들 통제하던 시기) *의인법 사용 효과 ① 봄에 대한 친근함을 드러냄 ② 화자의 정서를 더욱 생생하게 느끼고, 공감하도록 함 ③ 봄이 오랜 기다림 끝에 얻어진다는 것 강조 → 시적 화자가 봄을 간절하게 기다리고 있음을 절실하게 표현 온다 - 단정적 어조 → 봄이 반드시 올 것이라는 확고한 믿음 어디 뻘밭 구석이거나 썩은 물웅덩이 같은 데를 기웃거리다가 → 시련과 역경, 장애물 행동의 주체는 '봄'임을..

<먼 후일> - 김소월

김소월 시인은 전반적으로 '이별의 슬픔과 한'을 그린 시를 많이 쓰셨다. 중학교에서는 이나 이 반어법이 사용된 시로 자주 언급된다. 이름이 소월(밝고 흰 달)이라서 여성 시인인가 했는데, 알고 보니 남자분이셨다. 김정식 시인. 학생 때는 시를 좋아해서 실제로 꽃 중에서 진달래꽃을 좋아하기도 했다. *반어 : 자신의 속마음과 반대로 표현하는 것 *반어의 효과 → 신선한 느낌, 강한 인상 전달, 그 안에 담긴 진심(의미) 강조, 맥락에 따라 비꼬거나 비판 작품 해설 먼 훗날 당신이 찾으시면 그때에 내 말이 '잊었노라' 말하는 이(화자)의 처지 -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한 상황 가정법 - 미래에 당신이 자신을 찾아온다고 가정 당신이 속으로 나무라면 '무척 그리다가 잊었노라' 화자가 당신을 잊었다고 말해서 그것을..

<허생전> - 박지원

을 읽기 전에 이를 둘러싼 배경지식을 알아야 합니다. 우선, 명·청 교체시기에 대두한 북벌론과 이에 대비되는 북학파에 대해 살펴 봅시다. 북벌론 vs 북학파 명분(이유, 구실) 중시 무엇을 중시하는가 실리(실제 이익) 중시 명에 대한 의리(사대주의) & 병자호란에 대한 치욕을 갚고자 북(청나라)을 벌하자! 청나라에 대한 입장 청나라를 무조건 배척x 선진화되는 청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도입, 교류하자! 기득권 세력 유지를 위해 청을 정벌하자고 하는 행동력 없고, 말뿐인 폐쇄적인 조선 관료들 (기존 사대부) 정치 세력 농업 생산력을 높이고 상공업을 장려하는 실용적 학문의 등장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개혁적 의지를 보여주는 이용후생학파 ★주제 : 지배층인 사대부의 무능과 허위의식 비판, 새로운 삶의 각성(정신차려..

반응형